본문 바로가기
완전쓸데없는지식서랍

결자해지 뜻? 잘못한 일에 대해서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by 서랍관리자 2023. 10. 16.
반응형
728x170

결자해지 뜻? 잘못한 일에 대해서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어떤 일을 잘못했을 때, 좋지 않을 결과가 나왔을 때는 누가 책임을 져야 할까? 바로 그 일을 추진한 사람이다. 결자해지는 바로 이럴 때 사용하는 말이다. 결자해지의 유래와 예시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결자해지 뜻? 잘못한 일에 대해서는 누가 책임져야할까?


목 차

1. 결자해지 뜻?

2. 결자해지 유래

3. 결자해지와 비슷한 사자성어

4. 결자해지의 예시들


결자해지 뜻?

결자해지는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저지른 일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결(結) : 맺을 결
자(者) : 놈 자
해(解) : 풀 해
지(之) : 갈 지

- 일을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

사자성어는 책임감을 강조하는 말로 사용되며, 본인의 일은 본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뜻으로 많이 사용된다. 다른 뜻으로는 "이 일은 나만의 일이니 신경 쓰지 말아라."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 국민의 힘 이준석 전 대표가 대통령을 향해 결자해지 해야 한다며,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총선에도 실패한다고 이야기하며 국민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정치인들도 많이 사용하는 이 사자성어는 어디서부터 유래했을까?

 

결자해지 유래?

결자해지는 조선시대에서부터 사용되던 사자성어이다. 인조가 조선의 왕을 하고 있을 당시, 홍만종이라는 학자가 지은 "순오지"라는 평론지에서 나오는 구절에서 결자해지라는 말이 처음 등장했다.

결자해지 기시자 당임기종(結者解之 其始者 當任其終)

- 맺은 자가 그것을 풀고, 일을 시작한 자가 마땅히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

이 구절로부터 결자해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되었고, 아직까지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자성어이다.

 

결자해지와 비슷한 사자성어

1. 자승자박

- 제 줄로 제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본인이 한 말과 행동으로 본인 스스로에게 묶여버려 괴로움을 당하게 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인과응보

- 좋은 일을 행하면 좋은 결과가 따라오고, 나쁜 일을 하면 나쁜 결과가 따라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자업자득

- 본인이 저지른 일의 결과는 결국 본인에게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결자해지의 예시들

- "이 일은 제가 시작했으니,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결자해지 차원에서 꼭 마무리하겠습니다!"

- "이번 사고는 저희 임원들의 결정으로 나온 결과이니, 결자해지 차원으로 전 임원이 사퇴하겠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